우리가 정말 사는 건 커피일까

우리가 정말 사는 건 커피일까
Coffee and Cigarettes [Jim Jarmusch • 2003]

스타벅스에서 6천원짜리 아메리카노를 마시는 사람은 커피를 사는 게 아니다. "커피를 아는 사람"이라는 정체성을 산다. 편의점 천원짜리 커피와 맛 차이를 구분 못 하면서도.

정체성 마케팅(Identity Marketing)이라는 게 있다. 브랜드가 고객에게 "당신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의 답을 판다는 아이디어다. 할리 데이비슨 오토바이에 올라탄 순간, 당신은 더 이상 회사원이 아니라 "자유로운 라이더"가 된다는 식으로.

베로니카 로미(Veronica Romney)는 이걸 네 단계로 나눈다. 찾기, 증명하기, 이름 붙이기, 입히기. 그런데 이 과정을 자세히 보면 묘하다. 기업이 고객의 정체성을 "발견"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정체성을 "제조"하고 있다.

레드 앤츠 팬츠(Red Ants Pants)라는 작업복 브랜드는 "열심히 일하는 여성"이라는 정체성을 팔았다. 붉은 개미 암컷이 모든 일을 한다는 메타포로. 고객들은 바지가 아니라 "나는 열심히 일하는 강한 여성이다"라는 확신을 샀다.

문제는 이 정체성들이 대부분 기존에 없던 것들이라는 점이다. "플렉시 가족(Fluency Family)"도, "스매시 아미(Smash Army)"도 마케팅 팀이 회의실에서 만들어낸 개념이다. 고객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 새로 발명된 정체성을 "발견"했다고 착각한다.

인스타그램 릴스에서 "루틴의 여왕" 영상을 보며 나도 그렇게 살아야겠다고 다짐하는 순간, 우리는 이미 정체성 마케팅의 타겟이 되어 있다. 아침 6시 기상, 레몬물, 요가매트. 제품은 부차적이고, 정체성이 주요 상품이다.

그래서 요즘 브랜드들은 점점 더 종교 같아진다. 애플 신도, 테슬라 신도라는 말이 농담이 아니다. 정체성을 파는 브랜드의 고객은 고객이 아니라 신도가 된다.

Read more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결제 안 하는 사람들. "아, 이거 살까 말까" 하면서 몇 번이고 페이지 새로고침하는 사람들. 마치 구매가 죄라도 되는 것처럼. 근데 알렉스 호르모지(Alex Hormozi)는 정반대로 말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고. 구매 욕구는 기본값이다 생각해보면 맞다. 새 신발 보면 갖고 싶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 보면

By 정체이스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증권사 앱을 삭제했다가 다시 깔기를 3번째 하고 있다. 매번 "이번엔 장기투자만 하겠다"고 다짐하는데, 빨간불이 켜지면 손가락이 먼저 움직인다. 매도, 매수, 또 매도. 바쁘게 뭔가를 하고 있으니 뭔가 성과가 있을 것 같은데. 결과는 수수료만 증권사에 갖다 바쳤다. 뭐라도 해야 직성이 풀린다 사람은 원하는 게 있으면 뭐라도 하고 싶어한다.

By 정체이스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하버드 연구진이 개발한 그 성분, 이제 한국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왜 효과적인지 아는가? 정보는 최소한으로, 상상은 최대한으로 만들어서다. 하버드라는 권위 + 개발이라는 혁신 + 성분이라는 과학적 느낌 + "그"라는 지시대명사가 만드는 친밀감. 네 개 요소가 합쳐져서 독자 머릿속에 프리미엄 제품 이미지를 그려낸다. 이게 바로 다크 카피라이팅이다.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