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채기 같은 독성 버릇들

재채기 같은 독성 버릇들

어제 카페에서 옆 테이블 커플을 보다가 깨달았다. 그들은 대화를 하는 게 아니라 서로의 말에 재채기를 하고 있었다.

“오늘 회사에서—”“아 또 회사 얘기야?”

“그런데 말이야—”“말이 많네.”

“이해해줘—”“맨날 이해하라고 하네.”

재채기는 막을 수 없다. 코가 간지러우면 나오는 거니까. 문제는 우리의 소통습관 중에도 재채기 같은 것들이 있다는 거다. 상대방이 뭔가 말하려 할 때 조건반사적으로 튀어나오는 독성 반응들 말이다.

바로 반박하기는 가장 흔한 재채기다. 상대방 말이 끝나기도 전에 “아니야, 그게 아니라”가 목까지 올라와 있다. 마치 토론 프로그램 진행자처럼. 하지만 우리는 TV에 나온 게 아니다.

바로 핑계 대기도 마찬가지다. “그건 내 잘못이 아니야”, “상황이 그랬어”, “시간이 없어서”. 이런 말들이 뇌에서 입까지 가는 시간이 0.3초다. 생각할 틈도 주지 않는다.

바로 해결책 제시하기는 좀 더 교묘하다. “그냥 이렇게 하면 돼”라고 말하는 순간, 상대방의 고민을 3초 만에 해치운다. 듣기에는 도움이 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네 문제는 간단해”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재밌는 건 이런 재채기들이 모두 방어기제라는 점이다. 상대방의 말을 온전히 들으면 불편해질 수 있으니까. 내가 틀릴 수도 있고, 내 잘못일 수도 있고, 간단한 해결책이 없을 수도 있으니까.

하지만 재채기를 참으면 코가 아프듯이, 이런 반응들을 억지로 참는 것도 답은 아니다.

대신 재채기가 나올 것 같을 때 잠깐 멈춰보는 거다. “아, 지금 내가 뭔가 튀어나오려고 하네.” 그리고 한 번만 더 들어보는 거다. 상대방이 정말 반박을 원하는지, 핑계를 들어주길 원하는지, 해결책을 원하는지.

의외로 대부분은 그냥 들어주길 원한다. 재채기를 참아달라는 게 아니라, 그냥 잠깐만 기다려달라는 거다.

그 커플은 결국 각자 폰을 보기 시작했다. 재채기가 너무 많아서 대화가 감기에 걸린 듯 보였다.

Read more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결제 안 하는 사람들. "아, 이거 살까 말까" 하면서 몇 번이고 페이지 새로고침하는 사람들. 마치 구매가 죄라도 되는 것처럼. 근데 알렉스 호르모지(Alex Hormozi)는 정반대로 말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고. 구매 욕구는 기본값이다 생각해보면 맞다. 새 신발 보면 갖고 싶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 보면

By 정체이스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증권사 앱을 삭제했다가 다시 깔기를 3번째 하고 있다. 매번 "이번엔 장기투자만 하겠다"고 다짐하는데, 빨간불이 켜지면 손가락이 먼저 움직인다. 매도, 매수, 또 매도. 바쁘게 뭔가를 하고 있으니 뭔가 성과가 있을 것 같은데. 결과는 수수료만 증권사에 갖다 바쳤다. 뭐라도 해야 직성이 풀린다 사람은 원하는 게 있으면 뭐라도 하고 싶어한다.

By 정체이스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하버드 연구진이 개발한 그 성분, 이제 한국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왜 효과적인지 아는가? 정보는 최소한으로, 상상은 최대한으로 만들어서다. 하버드라는 권위 + 개발이라는 혁신 + 성분이라는 과학적 느낌 + "그"라는 지시대명사가 만드는 친밀감. 네 개 요소가 합쳐져서 독자 머릿속에 프리미엄 제품 이미지를 그려낸다. 이게 바로 다크 카피라이팅이다.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