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증권사 앱을 삭제했다가 다시 깔기를 3번째 하고 있다.

매번 "이번엔 장기투자만 하겠다"고 다짐하는데, 빨간불이 켜지면 손가락이 먼저 움직인다. 매도, 매수, 또 매도. 바쁘게 뭔가를 하고 있으니 뭔가 성과가 있을 것 같은데.

결과는 수수료만 증권사에 갖다 바쳤다.

뭐라도 해야 직성이 풀린다

사람은 원하는 게 있으면 뭐라도 하고 싶어한다.

살 빼려고 헬스장 등록하고, 영어 공부하려고 앱 10개 깔고, 투자 수익 내려고 하루에 50번 차트 본다. 움직이는 게 움직이지 않는 것보다 나을 거라는 착각.

실제로는 정반대다.

워런 버핏이 "가만히 앉아있기가 어렵다"고 했던 이유가 있다. 움직임 자체가 성과를 보장하지 않으니까. 오히려 잘못된 움직임은 안 움직이는 것보다 못하다.

효율의 덫

효율만 좇으면 이상한 일이 일어난다. 잘못된 행동을 빠르게 반복하는 전문가가 된다.

똑같은 실수를 1시간에 10번 하면서 "나는 열심히 했는데"라고 말한다. 열심히 한 게 맞다. 잘못된 방향으로.

카카오뱅크 HTS에서 1분봉 차트 보면서 "기술적 분석"한다고 하는 사람들이 그렇다. 정말 열심히 한다. 효율적으로 돈을 잃는다.

올바른 행동을 제때 하는 것

효과는 다른 데서 온다. 올바른 행동을 제때 하는 것.

삼성전자를 5만원에 사서 10년 들고 있는 게 올바른 행동일 수 있다. 재미없다. 뭔가 하고 있는 느낌도 안 든다. 그런데 이게 수익률 1등을 차지한다.

영어도 마찬가지다. 문법책 하나 끝까지 보는 게 앱 10개 번갈아 보는 것보다 낫다. 운동도 그렇다. PT 3개월 꾸준히 하는 게 헬스장 5곳 돌아다니는 것보다 효과 있다.

멀티태스킹이라는 이름의 집중력 파괴

요즘 멀티태스킹에 중독된 사람들이 많다.

주식 차트 보면서 유튜브 듣고, 영어 앱 켜놓고 인스타그램 본다. 바쁘다. 정말 바쁘다. 그런데 뭔가 남는 게 없다.

MIT에서 2009년에 발표한 연구를 보면, 멀티태스킹할 때 IQ가 15포인트 떨어진다고 나와 있다. 마리화나 피운 것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집중해서 한 가지 일을 하는 게 동시에 세 가지 일을 하는 것보다 낫다는 얘기다.

언제가 적기인가

"올바른 일을 언제 해야 하는지"가 핵심이다.

주식 살 때는 모두가 팔 때다. 영어 공부는 해외여행 가기 전이 아니라 지금이다. 운동은 살이 쪘을 때가 아니라 살 찌기 전이다.

타이밍을 놓치고 나서 부랴부랴 뭐라도 하려고 하면 십중팔구 잘못된 행동을 하게 된다.

고민이 답이다

진심으로 고민해봐야 한다.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올바른 건지, 제때 하고 있는 건지. 뭔가 하고 있으니까 안심하고 있는 건 아닌지.

주식 계좌 매일 들여다보는 시간에 기업 연차보고서 하나 읽는 게 나을 수도 있다. 영어 앱 5개 왔다 갔다 하는 시간에 책 한 권 끝까지 보는 게 나을 수도 있다.

움직이는 게 능사가 아니다. 올바르게 움직이는 게 능사다.

Read more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결제 안 하는 사람들. "아, 이거 살까 말까" 하면서 몇 번이고 페이지 새로고침하는 사람들. 마치 구매가 죄라도 되는 것처럼. 근데 알렉스 호르모지(Alex Hormozi)는 정반대로 말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고. 구매 욕구는 기본값이다 생각해보면 맞다. 새 신발 보면 갖고 싶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 보면

By 정체이스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하버드 연구진이 개발한 그 성분, 이제 한국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왜 효과적인지 아는가? 정보는 최소한으로, 상상은 최대한으로 만들어서다. 하버드라는 권위 + 개발이라는 혁신 + 성분이라는 과학적 느낌 + "그"라는 지시대명사가 만드는 친밀감. 네 개 요소가 합쳐져서 독자 머릿속에 프리미엄 제품 이미지를 그려낸다. 이게 바로 다크 카피라이팅이다.

By 정체이스
미용실이 '플랫폼'이 된 날

미용실이 '플랫폼'이 된 날

블랙스톤이 준오에 투자했다는 뉴스가 떴다. 1982년 시작된 한국 미용실 체인에 글로벌 투자회사가 돈을 넣었다는 얘기다. 흥미로운 건 보도자료의 단어 선택이다. "헤어케어 브랜드"가 "통합 뷰티 웰니스 플랫폼"이 됐다. 미용실이 플랫폼이라니. 실제로 준오는 미용실 180개, 직원 3천 명, 아카데미까지 운영한다. 싱가포르, 베트남, 필리핀에도 진출했고 일본과 태국에는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