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충의 비극

설명충의 비극

소설을 쓰다 보면 독자에게 뭔가 설명해야 할 때가 온다. 주인공의 과거, 세계관의 룰, 복잡한 관계도 같은 것들.

그래서 친절하게 설명한다. 길게, 자세하게, 빠뜨릴 게 없도록.

독자는 3페이지째 하품을 한다.

인포덤프(infodump)라는 말이 있다. 정보를 한꺼번에 쏟아붓는 것. 글쓰기에서 가장 지루한 순간 중 하나다.

작가들은 항상 독자가 더 많은 설명을 원한다고 생각한다. 실제로는 그 반대다. 독자는 이야기를 원하지 백과사전을 원하지 않는다.

인포덤프가 나타나는 타이밍은 언제나 최악이다. 처음에 나오면 "진짜 이야기는 언제 시작되나요?"라고 묻게 되고, 중간에 나오면 몰입이 뚝 끊긴다. 마치 넷플릭스 보다가 갑자기 다큐멘터리가 나오는 기분.

가장 큰 문제는 인포덤프에 갈등이 없다는 점이다. 그냥 "알아두세요" 하는 정보 전달일 뿐. 독자 입장에서는 수업을 듣는 기분이다.

인포덤프 찾는 법

글을 다시 읽다가 건너뛰고 싶어지는 부분이 있다면 그게 바로 그것이다. 독자도 똑같이 건너뛸 거다.

특징을 보면:

  • 대화나 액션 없이 설명만 계속되는 문단
  • 위키피디아처럼 읽히는 부분
  • 지금 당장 몰라도 되는 정보들
  • 인물의 머릿속 회상이 너무 길게 이어지는 곳

고치는 법

일단 과감하게 잘라보자. 없어도 이야기가 돌아가는지 확인해보는 것. 정말 필요한 정보라면 나눠서 조금씩 뿌린다.

그리고 정보를 캐릭터의 목소리로 전달한다.

"이 왕국은 수백 년간 전쟁 중이었다" 대신

"전쟁이 시작된 게 언제였는지도 모르겠어. 할아버지 할아버지 때부터였나?"

감정과 연결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정보 자체가 아니라 그 정보가 캐릭터에게 어떤 의미인지 보여주는 것.

"미라는 엄격한 군인 가정에서 자랐다" 대신

"현관문이 삐걱 소리를 내자 미라는 반사적으로 등을 꼿꼿이 세웠다. 아버지와 살던 시절의 몸이 기억하는 습관이었다."

가장 중요한 건 궁금증을 만드는 것이다. 모든 걸 설명하려고 하지 말고, 독자가 더 알고 싶어하도록 만드는 것.

정보는 필요할 때 자연스럽게 흘려보내면 된다.

Read more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결제 안 하는 사람들. "아, 이거 살까 말까" 하면서 몇 번이고 페이지 새로고침하는 사람들. 마치 구매가 죄라도 되는 것처럼. 근데 알렉스 호르모지(Alex Hormozi)는 정반대로 말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고. 구매 욕구는 기본값이다 생각해보면 맞다. 새 신발 보면 갖고 싶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 보면

By 정체이스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증권사 앱을 삭제했다가 다시 깔기를 3번째 하고 있다. 매번 "이번엔 장기투자만 하겠다"고 다짐하는데, 빨간불이 켜지면 손가락이 먼저 움직인다. 매도, 매수, 또 매도. 바쁘게 뭔가를 하고 있으니 뭔가 성과가 있을 것 같은데. 결과는 수수료만 증권사에 갖다 바쳤다. 뭐라도 해야 직성이 풀린다 사람은 원하는 게 있으면 뭐라도 하고 싶어한다.

By 정체이스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하버드 연구진이 개발한 그 성분, 이제 한국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왜 효과적인지 아는가? 정보는 최소한으로, 상상은 최대한으로 만들어서다. 하버드라는 권위 + 개발이라는 혁신 + 성분이라는 과학적 느낌 + "그"라는 지시대명사가 만드는 친밀감. 네 개 요소가 합쳐져서 독자 머릿속에 프리미엄 제품 이미지를 그려낸다. 이게 바로 다크 카피라이팅이다.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