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는 고정적이지 않다

위로는 고정적이지 않다

카페에서 친구가 연애 얘기를 털어놓는다. “내가 너무 예민한 것 같아. 또 싸웠어.” 나는 자동으로 입을 연다. “아니야, 네 잘못 아니야. 상대방이 이해를 못 하는 거지.”

표준적인 위로다. 하지만 가끔 생각해본다. 정말 이게 맞나?

자책의 재발견

우리는 자책을 무조건 나쁜 것으로 본다. 자존감을 깎아먹고, 우울하게 만들고, 발전을 막는 독이라고. 그래서 위로할 때도 “너 잘못 아니야”부터 시작한다.

하지만 잠깐. 자책이 정말 그렇게 해로울까?

물론 무너질 정도의 자책은 문제다. 하루종일 자신을 책망하며 침대에서 나오지 못하는 상태. 이건 자책이 아니라 자학이다.

그런데 적당한 자책은 다르다. “아, 내가 여기서 실수했네”라고 인정하는 것. “다음엔 이렇게 해봐야겠다”로 이어지는 그런 자책 말이다.

남 탓의 함정

반대로 모든 걸 남 탓으로 돌리면 어떻게 될까? 단기적으로는 기분이 좋다. 내 자존감은 보호되고, 죄책감도 없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다.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왜냐하면 문제의 원인이 “저 사람”에게 있다고 믿으니까.

연애에서 매번 상대방 탓만 하는 사람. 직장에서 항상 동료들 탓하는 사람. 이들의 공통점은 뭘까? 몇 년이 지나도 똑같은 문제를 겪는다는 것이다.

위로의 새로운 문법

그렇다면 위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너 잘못 아니야”보다는 “뭘 배울 수 있을까?“가 나을 때가 있다. “상대가 나빠”보다는 “다음엔 어떻게 다르게 해볼 수 있을까?“가 더 도움이 될 때도 있다.

물론 타이밍이 중요하다. 상처받은 직후에는 일단 공감부터. 그리고 조금 진정되면 슬슬 다른 관점을 제시해보는 것이다.

적당한 자기 원인 귀인

심리학에서는 이걸 ‘내부 귀인’이라고 한다. 결과의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는 것. 외부 귀인은 그 반대고.

흥미로운 건, 성공한 사람들은 실패를 내부 귀인하고 성공을 외부 귀인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실패는 내 탓, 성공은 운이 좋았던 것”이라고 생각한다.

반대로 우울한 사람들은 실패를 내부 귀인하고 성공을 외부 귀인한다. 어? 똑같잖아?

차이는 강도다. 성공한 사람들의 자기 원인 귀인은 건설적이다. “내가 여기서 실수했으니 다음엔 고치자.” 우울한 사람들의 그것은 파괴적이다. “난 원래 안 되는 놈이야.”

무너지지 않는 자책의 기술

핵심은 ‘무너지지 않을 정도’라는 부분이다. 자책의 강도 조절이 필요하다.

좋은 자책: “이 부분에서 내가 실수했네. 다음엔 다르게 해보자.”

나쁜 자책: “난 항상 이래. 뭐든 망치는 바보야.”

좋은 자책은 구체적이고 행동 지향적이다. 나쁜 자책은 추상적이고 정체성을 공격한다.

그러니까 친구가 연애 이야기를 털어놓을 때, 무조건 “너 잘못 아니야”라고 하지 말자. 가끔은 “뭐가 잘못됐다고 생각해?“라고 물어보는 것도 진짜 위로일 수 있다.

물론 친구가 이미 자책의 늪에 빠져 있다면 얘기가 다르다. 그럴 땐 진짜로 “너 잘못 아니야”라고 해줘야 한다.

위로에도 때와 장소가 있다. 고정된 공식은 없다.

Read more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결제 안 하는 사람들. "아, 이거 살까 말까" 하면서 몇 번이고 페이지 새로고침하는 사람들. 마치 구매가 죄라도 되는 것처럼. 근데 알렉스 호르모지(Alex Hormozi)는 정반대로 말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고. 구매 욕구는 기본값이다 생각해보면 맞다. 새 신발 보면 갖고 싶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 보면

By 정체이스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증권사 앱을 삭제했다가 다시 깔기를 3번째 하고 있다. 매번 "이번엔 장기투자만 하겠다"고 다짐하는데, 빨간불이 켜지면 손가락이 먼저 움직인다. 매도, 매수, 또 매도. 바쁘게 뭔가를 하고 있으니 뭔가 성과가 있을 것 같은데. 결과는 수수료만 증권사에 갖다 바쳤다. 뭐라도 해야 직성이 풀린다 사람은 원하는 게 있으면 뭐라도 하고 싶어한다.

By 정체이스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하버드 연구진이 개발한 그 성분, 이제 한국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왜 효과적인지 아는가? 정보는 최소한으로, 상상은 최대한으로 만들어서다. 하버드라는 권위 + 개발이라는 혁신 + 성분이라는 과학적 느낌 + "그"라는 지시대명사가 만드는 친밀감. 네 개 요소가 합쳐져서 독자 머릿속에 프리미엄 제품 이미지를 그려낸다. 이게 바로 다크 카피라이팅이다.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