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교묘한 조작

가장 교묘한 조작

조지 오웰(George Orwell)의 《1984》에서 당(Party)이 마지막으로 장악한 건 폭력이 아니라 진실 그 자체였다. 2+2는 5다. 믿거나... 아니면 말거나.

요즘 유튜브(YouTube) 댓글창을 보면 이상한 기분이 든다. 같은 영상을 보고도 완전히 다른 현실을 사는 사람들이 모여 있다. 한쪽은 "명백한 사실"이라고 주장하고, 다른 쪽은 "거짓 선동"이라고 맞받아친다. 둘 다 확신에 차 있다.

《1984》의 진실부(Ministry of Truth)는 과거를 지우고 새로 쓰는 곳이었다. 어제의 신문을 회수해서 오늘의 현실에 맞게 '수정'한다. 하지만 지금은 더 효율적이다. 굳이 과거를 지울 필요가 없다. 각자 자기만의 타임라인에서 자기만의 진실을 소비하면 된다.

알고리즘이 우리의 빅브라더(Big Brother)가 됐다. 하지만 《1984》의 빅브라더보다 훨씬 친절하다. 강요하지 않는다. 그냥 "이런 것도 좋아하실 것 같은데요"라며 살짝 권한다. 거부할 수 있다는 착각까지 덤으로 준다.

인스타그램(Instagram) 릴스를 보다 보면 어느새 나와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만 남는다. 이상하게도 모든 사람이 내 의견에 동의한다. 세상이 이렇게 단순했나 싶다. 2+2=4라는 당연한 사실에 모두가 고개를 끄덕인다.

문제는 다른 사람들도 똑같은 경험을 한다는 것이다. 다만 그들에게는 2+2=5가 당연한 상식이다.

오웰이 상상한 건 하나의 거대한 거짓이었다. 하지만 우리가 사는 세상은 수백만 개의 작은 진실들이 충돌하는 곳이다. 각자의 데이터, 각자의 전문가, 각자의 뉴스. 모두 팩트를 근거로 든다.

예전에는 "사실"이라는 게 있었다. 물론 완벽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출발점은 같았다. 이제는 출발점부터 다르다. 같은 그래프를 보고도 정반대 결론을 내린다. 그래프 자체가 가짜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레딧(Reddit)에서 누군가 팩트체크를 요구하면 열 명이 열 개의 다른 링크를 댄다. 모두 "믿을 만한" 소스다. 결국 가장 그럴듯한 이야기를 고르게 된다. 아니면 내가 이미 믿고 싶은 이야기를.

Read more

칼로리 카운팅의 역설: 몸의 언어를 다시 배우는 법

칼로리 카운팅의 역설: 몸의 언어를 다시 배우는 법

역설의 시작점 2,000칼로리를 먹고 2,500칼로리를 쓰면 500칼로리 적자. 한 달이면 2kg. 열역학 제1법칙은 부정할 수 없다. 에너지는 보존된다. 그래서 우리는 앱을 깔고 숫자를 센다. 탄수화물 몇 그램, 단백질 몇 그램, 지방 몇 그램. 계획은 완벽하다. 숫자는 명확하다. 하지만 현실은 계산기를 비웃는다. A와 B가 있다. 같은 키, 같은 체중,

By 정체이스
드레이크가 소송에서 진 이유

드레이크가 소송에서 진 이유

랩퍼끼리 디스하다가 법원까지 간 사건이다. 드레이크가 자기 소속사 UMG를 고소했다. 켄드릭 라마가 "Not Like Us"란 곡에서 드레이크를 소아성애자로 몰았는데, UMG가 이걸 그냥 내버려뒀다는 거다. 아니, 오히려 봇 돌리고 페이올라까지 써서 이 곡을 띄워줬다고 주장했다. 2024년 미국 연방법원의 자넷 바르가스 판사가 목요일에 이 소송을 기각했다. 문제의 가사 "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