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실이 '플랫폼'이 된 날

미용실이 '플랫폼'이 된 날

블랙스톤이 준오에 투자했다는 뉴스가 떴다. 1982년 시작된 한국 미용실 체인에 글로벌 투자회사가 돈을 넣었다는 얘기다.

흥미로운 건 보도자료의 단어 선택이다. "헤어케어 브랜드"가 "통합 뷰티 웰니스 플랫폼"이 됐다. 미용실이 플랫폼이라니.

실제로 준오는 미용실 180개, 직원 3천 명, 아카데미까지 운영한다. 싱가포르, 베트남, 필리핀에도 진출했고 일본과 태국에는 마스터 프랜차이즈까지 줬다. 단순한 동네 미용실이 아니다.

K-뷰티 열풍이라는 말도 나온다. 한국식 다단계 모발 관리가 전 세계적 트렌드가 됐다는 주장이다. 10단계 스킨케어에 이어 이제는 다단계 헤어케어 차례인가.

근데 정작 동네에서는 미용실 문 닫는 소리가 들린다. 코로나 이후 자가 염색이 늘었고, 가성비 프랜차이즈들이 고급 미용실을 위협한다. 1만원짜리 컷 전문점 옆에서 10만원 받는 미용실이 버티기 쉽지 않다.

그런데 180개 매장을 거느린 미용실 체인은 투자를 받는다. 규모의 경제가 작동하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이 갈린다.

미용실도 이제 플랫폼이다. 헤어 자르는 곳이 아니라 뷰티 경험을 파는 곳. 개별 미용사의 손기술보다는 브랜드의 시스템이 중요해진다.

동네 미용실 사장님이 "요즘 손님들이 까다로워졌어"라고 하실 때, 그 까다로움의 기준을 만든 건 준오 같은 곳들이다.

Read more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결제 안 하는 사람들. "아, 이거 살까 말까" 하면서 몇 번이고 페이지 새로고침하는 사람들. 마치 구매가 죄라도 되는 것처럼. 근데 알렉스 호르모지(Alex Hormozi)는 정반대로 말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고. 구매 욕구는 기본값이다 생각해보면 맞다. 새 신발 보면 갖고 싶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 보면

By 정체이스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증권사 앱을 삭제했다가 다시 깔기를 3번째 하고 있다. 매번 "이번엔 장기투자만 하겠다"고 다짐하는데, 빨간불이 켜지면 손가락이 먼저 움직인다. 매도, 매수, 또 매도. 바쁘게 뭔가를 하고 있으니 뭔가 성과가 있을 것 같은데. 결과는 수수료만 증권사에 갖다 바쳤다. 뭐라도 해야 직성이 풀린다 사람은 원하는 게 있으면 뭐라도 하고 싶어한다.

By 정체이스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하버드 연구진이 개발한 그 성분, 이제 한국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왜 효과적인지 아는가? 정보는 최소한으로, 상상은 최대한으로 만들어서다. 하버드라는 권위 + 개발이라는 혁신 + 성분이라는 과학적 느낌 + "그"라는 지시대명사가 만드는 친밀감. 네 개 요소가 합쳐져서 독자 머릿속에 프리미엄 제품 이미지를 그려낸다. 이게 바로 다크 카피라이팅이다.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