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완성을 미완성으로 두는 용기

미완성을 미완성으로 두는 용기

넷플릭스에서 시리즈를 보다가 중간에 끄면 찜찜하다. 다음 에피소드가 자동 재생되기 전에 끄려고 하는데, 결국 새벽 3시까지 봐버린다. "다음 편에서 뭔 일이 일어날지 알아야 잠이 와."

이게 종결욕구다. 심리학에서 말하는 '인지적 종결 욕구'는 불확실한 상황을 참지 못하고 빨리 결론을 내리고 싶어 하는 경향이다.

스타트업에서 흔한 풍경이다. A/B 테스트 결과를 일주일 돌려봐야 하는데 사흘 만에 결론 내린다. "벌써 패턴이 보이잖아요." 베타 테스터 열 명 중 세 명이 "음… 글쎄요"라고 하면 바로 기능을 뜯어고친다. 나머지 일곱 명의 반응을 기다리지 못한다.

인간관계도 마찬가지다. 동료와 미묘하게 어색한 상황이 생기면 바로 정면승부를 걸려고 한다. "우리 사이에 뭔가 있는 거 같은데 솔직히 얘기해요." 상사가 "좋은 방향으로 검토해보세요"라고 하면 밤새 구체적인 액션 플랜을 만든다.

하지만 때로는 종결이 정답이다. 고민만 하다가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더 많다. "좀 더 데이터를 모아보고"라고 하다가 경쟁사가 먼저 출시한다. "시장 상황을 더 지켜보고"라다가 트렌드가 지나간다.

결정을 미루는 것도 결정이다. 그것도 보통은 나쁜 결정이다.

문제는 언제 밀어붙이고 언제 기다려야 하는지 아무도 정확히 모른다는 것이다. 결정해야 할 순간에는 항상 정보가 부족하다. 기다릴 수 있는 순간에는 항상 시간이 아깝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기 성향에 의존한다. 종결욕구가 강한 사람은 "일단 해보자"를 외친다. 약한 사람은 "좀 더 생각해보자"를 반복한다. 둘 다 자신의 불안감을 관리하는 방식일 뿐이다.

진짜 필요한 건 불편함을 견디는 연습이다. 결론 내리고 싶은 충동도, 미루고 싶은 충동도 일단 멈추고 상황을 보는 것이다.

지금 이 결정이 정말 급한가? 더 기다리면 비용이 얼마나 늘어나는가? 지금 결정하면 되돌릴 수 있는가?

답은 상황마다 다르다. 하지만 적어도 내 감정 때문에 결정하지는 않을 수 있다.

종결욕구든 회피욕구든, 둘 다 도구일 뿐이다.

Read more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결제 안 하는 사람들. "아, 이거 살까 말까" 하면서 몇 번이고 페이지 새로고침하는 사람들. 마치 구매가 죄라도 되는 것처럼. 근데 알렉스 호르모지(Alex Hormozi)는 정반대로 말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고. 구매 욕구는 기본값이다 생각해보면 맞다. 새 신발 보면 갖고 싶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 보면

By 정체이스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증권사 앱을 삭제했다가 다시 깔기를 3번째 하고 있다. 매번 "이번엔 장기투자만 하겠다"고 다짐하는데, 빨간불이 켜지면 손가락이 먼저 움직인다. 매도, 매수, 또 매도. 바쁘게 뭔가를 하고 있으니 뭔가 성과가 있을 것 같은데. 결과는 수수료만 증권사에 갖다 바쳤다. 뭐라도 해야 직성이 풀린다 사람은 원하는 게 있으면 뭐라도 하고 싶어한다.

By 정체이스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하버드 연구진이 개발한 그 성분, 이제 한국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왜 효과적인지 아는가? 정보는 최소한으로, 상상은 최대한으로 만들어서다. 하버드라는 권위 + 개발이라는 혁신 + 성분이라는 과학적 느낌 + "그"라는 지시대명사가 만드는 친밀감. 네 개 요소가 합쳐져서 독자 머릿속에 프리미엄 제품 이미지를 그려낸다. 이게 바로 다크 카피라이팅이다.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