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담을 쓰는 방법-제리 사인펠드(Jerry Seinfeld)의 5단계 코미디 쓰기 프로세스

농담을 쓰는 방법-제리 사인펠드(Jerry Seinfeld)의 5단계 코미디 쓰기 프로세스
Photo by Anita Jankovic / Unsplash

1단계: 웃긴 주제로 시작하기

  • 사인펠드가 선택한 주제: 누군가 죽었을 때 "적어도 그가 사랑하는 일을 하다가 죽었네"라고 위로하는 것의 우스꽝스러움
  • 사인펠드의 반박: "나는 차라리 내가 싫어하는 일을 하다가 죽고 싶다. 그래야 더 이상 그 일을 안 해도 되니까"
  • 구체적 예시: 이동식 화장실 청소하다가 죽는 것
  • 이 아이디어는 다른 코미디언과 대화하다가 나왔고, 그 친구가 "이동식 화장실? 그거 재밌는 영역이야. 더 파봐"라고 조언함

2단계: 주제 관련 감정과 이미지로 농담 확장

  • 한 주제당 농담 개수: 2-3개(좋음), 4-5개(훌륭함), 그 이상(마스터)
  • 이동식 화장실 시리즈에서 사인펠드는 '인간의 배설물'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도 큰 웃음 유발
  • 대신 집중한 것들:
    • 문짝 경첩을 볼 때 느끼는 공포감
    • 그 안에 있을 때의 기분
    • 내부를 본 후 겪는 정신적 트라우마
    • 그 광경이 뇌리에 박혀서 잠을 못 자는 경험

3단계: 논리적으로 농담 배열하고 연결

  • 흐름: 죽음 위로 농담(4-5개) → 이동식 화장실 농담(5개 이상)
  • 각 농담이 자연스럽게 다음으로 이어지도록 구성
  • 비슷한 농담 활용법: "비슷한 농담 두 개를 쓰려면 사이에 공간을 두면 된다"
  • 예: 첫 번째와 마지막 농담은 둘 다 '공포와 트라우마' 관련이었지만, 중간에 다른 농담들을 배치해서 거리 확보

4단계: 압축과 페이싱 조정

  • 사인펠드의 고백: "나는 그렇게 웃기지 않다. 그래서 스탠드업 코미디의 기술에 집착하게 됐다"
  • 핵심: "농담들을 최대한 가깝게 배치할수록 웃음이 커진다. 압축은 매우 중요한 요소다"
  • "롤링(the roll)" 효과:
    • 농담을 빠르게 연속으로 던져서 웃음이 계속 이어지게 만들기
    • 사람들이 웃음을 멈출 시간을 주지 않기
    • 각 농담이 이전 웃음 위에 쌓여서 더 큰 웃음 만들기
    • 관객을 느슨하게 만들어 다음 농담에 더 잘 웃게 하기

5단계: 작은 그룹에서 테스트

  • 사인펠드도 고담 코미디 클럽(Gotham Comedy Club) 같은 작은 장소에서 먼저 시험
  • 큰 공연장 가기 전에 부담 적은 관객 앞에서 테스트
  • 아마추어 코미디언의 경우:
    • 먼저 친구와 가족에게 농담 테스트
    • 반응 확인 후 수정
    • 오픈 마이크나 아마추어 코미디 쇼에서 연습

장소: 고담 코미디 클럽(Gotham Comedy Club)에서의 Q&A 세션

출처: 라이터스 다이제스트(Writer's Digest) - "Jerry Seinfeld's 5-Step Comedy Writing Process" (2019)

Read more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결제 안 하는 사람들. "아, 이거 살까 말까" 하면서 몇 번이고 페이지 새로고침하는 사람들. 마치 구매가 죄라도 되는 것처럼. 근데 알렉스 호르모지(Alex Hormozi)는 정반대로 말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고. 구매 욕구는 기본값이다 생각해보면 맞다. 새 신발 보면 갖고 싶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 보면

By 정체이스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증권사 앱을 삭제했다가 다시 깔기를 3번째 하고 있다. 매번 "이번엔 장기투자만 하겠다"고 다짐하는데, 빨간불이 켜지면 손가락이 먼저 움직인다. 매도, 매수, 또 매도. 바쁘게 뭔가를 하고 있으니 뭔가 성과가 있을 것 같은데. 결과는 수수료만 증권사에 갖다 바쳤다. 뭐라도 해야 직성이 풀린다 사람은 원하는 게 있으면 뭐라도 하고 싶어한다.

By 정체이스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하버드 연구진이 개발한 그 성분, 이제 한국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왜 효과적인지 아는가? 정보는 최소한으로, 상상은 최대한으로 만들어서다. 하버드라는 권위 + 개발이라는 혁신 + 성분이라는 과학적 느낌 + "그"라는 지시대명사가 만드는 친밀감. 네 개 요소가 합쳐져서 독자 머릿속에 프리미엄 제품 이미지를 그려낸다. 이게 바로 다크 카피라이팅이다.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