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라는 감옥

자유라는 감옥

넷플릭스를 켜면 30분은 뭘 볼지 고민한다. 선택지가 10개였던 비디오 가게 시절엔 5분이면 충분했는데.

진짜 문제는 막연함이 아니다. 잠재적 손실의 크기를 모른다는 거다.

영화 하나 잘못 고르면? 2시간 날린다. 그런데 직업을 잘못 고르면? 전공을 잘못 고르면? 유튜브 채널 주제를 잘못 정하면? 손실의 끝을 알 수 없으니 모든 선택이 거대한 도박처럼 느껴진다.

그래서 우리는 과도하게 "최적의 선택"에 집착한다. 인스타그램에 올릴 사진 하나 고르는 데도 20분. 최고의 각도, 최고의 필터, 최고의 캡션. 실패의 대가가 불명확할수록 성공에 대한 강박은 커진다.

프리랜서 친구가 새벽 3시에 일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언제든 일할 수 있다"는 자유가 "언제든 일해야 한다"는 불안으로 변한다. 놓친 기회의 크기를 모르니까.

제약은 이 불안을 해소한다.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매주 목요일 요리 영상"이라고 정하면, 월요일에 게임 영상을 안 올려도 괜찮다. 놓친 게 아니라 선택한 거니까. 손실의 범위가 명확해진다.

마감이 창의성을 만든다는 건 반만 맞는 말이다. 정확히는 마감이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예산 100만원으로는 완벽한 광고를 못 만들어도, 최선의 광고는 만들 수 있다.

일을 설계한다는 건 스스로 감옥을 짓는 일이다.

단, 문은 직접 만든다.

Read more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결제 안 하는 사람들. "아, 이거 살까 말까" 하면서 몇 번이고 페이지 새로고침하는 사람들. 마치 구매가 죄라도 되는 것처럼. 근데 알렉스 호르모지(Alex Hormozi)는 정반대로 말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고. 구매 욕구는 기본값이다 생각해보면 맞다. 새 신발 보면 갖고 싶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 보면

By 정체이스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증권사 앱을 삭제했다가 다시 깔기를 3번째 하고 있다. 매번 "이번엔 장기투자만 하겠다"고 다짐하는데, 빨간불이 켜지면 손가락이 먼저 움직인다. 매도, 매수, 또 매도. 바쁘게 뭔가를 하고 있으니 뭔가 성과가 있을 것 같은데. 결과는 수수료만 증권사에 갖다 바쳤다. 뭐라도 해야 직성이 풀린다 사람은 원하는 게 있으면 뭐라도 하고 싶어한다.

By 정체이스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하버드 연구진이 개발한 그 성분, 이제 한국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왜 효과적인지 아는가? 정보는 최소한으로, 상상은 최대한으로 만들어서다. 하버드라는 권위 + 개발이라는 혁신 + 성분이라는 과학적 느낌 + "그"라는 지시대명사가 만드는 친밀감. 네 개 요소가 합쳐져서 독자 머릿속에 프리미엄 제품 이미지를 그려낸다. 이게 바로 다크 카피라이팅이다.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