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검색을 죽일 거라던 사람들

AI가 검색을 죽일 거라던 사람들

구글 AI 검색 기능 사용자가 20억 명을 넘었다는 뉴스를 보며 문득 떠오른 건, 작년 이맘때 레딧에서 본 댓글이었다. "이제 구글 망했다. ChatGPT만 쓰면 되는데 누가 검색해?"

그런데 재밌는 일이 벌어졌다. AI가 답을 주는데도 사람들이 더 검색한다. 구글 발표로는 검색 인상이 49% 늘었다고 한다. AI가 "파리 여행 3박 4일 코스"를 완벽하게 알려줘도, 사람들은 또 검색한다. "파리 맛집", "파리 숨은 명소", "파리 여행 실패담".

답을 알고도 계속 질문하는 건 사람만의 특징인 것 같다. 연인에게 "뭐 먹을래?"라고 물어보고 "아무거나"라는 답을 듣고도, 또 "정말 아무거나?" "치킨 어때?" "아니면 피자?"를 반복하는 것처럼.

AI 검색이 등장했을 때 전문가들은 "검색의 종말"을 예언했다. 하지만 넷플릭스가 영화관을 죽일 거라던 예측과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사람들은 집에서 영화를 보면서도 영화관에 더 자주 간다. 편리함이 욕구를 없애는 게 아니라 오히려 키운다.

구글이 똑똑해질수록 사람들의 질문도 교묘해진다. "AI Overview"가 정답을 주면, 이번엔 "실제로는 어떨까?"를 궁금해한다. 정보 과잉 시대의 아이러니다. 모든 걸 알 수 있는데, 아무것도 확신할 수 없다.

결국 AI는 검색을 죽이는 게 아니라 검색의 형태를 바꿨다. 답을 찾는 검색에서 확신을 찾는 검색으로.

Read more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결제 안 하는 사람들. "아, 이거 살까 말까" 하면서 몇 번이고 페이지 새로고침하는 사람들. 마치 구매가 죄라도 되는 것처럼. 근데 알렉스 호르모지(Alex Hormozi)는 정반대로 말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고. 구매 욕구는 기본값이다 생각해보면 맞다. 새 신발 보면 갖고 싶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 보면

By 정체이스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증권사 앱을 삭제했다가 다시 깔기를 3번째 하고 있다. 매번 "이번엔 장기투자만 하겠다"고 다짐하는데, 빨간불이 켜지면 손가락이 먼저 움직인다. 매도, 매수, 또 매도. 바쁘게 뭔가를 하고 있으니 뭔가 성과가 있을 것 같은데. 결과는 수수료만 증권사에 갖다 바쳤다. 뭐라도 해야 직성이 풀린다 사람은 원하는 게 있으면 뭐라도 하고 싶어한다.

By 정체이스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하버드 연구진이 개발한 그 성분, 이제 한국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왜 효과적인지 아는가? 정보는 최소한으로, 상상은 최대한으로 만들어서다. 하버드라는 권위 + 개발이라는 혁신 + 성분이라는 과학적 느낌 + "그"라는 지시대명사가 만드는 친밀감. 네 개 요소가 합쳐져서 독자 머릿속에 프리미엄 제품 이미지를 그려낸다. 이게 바로 다크 카피라이팅이다.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