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의 아웃소싱(해독제 동봉)

선택의 아웃소싱(해독제 동봉)

넷플릭스를 켠다. "당신이 좋아할 만한" 섹션을 본다. 세 번째 추천작을 클릭한다.

이게 내 선택일까, 알고리즘의 선택일까?

프랑스 철학자 베르나르 스티글레르는 인간이 기억을 외부에 맡겨왔다고 했다. 동굴 벽화부터 시작해서 책, 사진, 그리고 지금은 클라우드까지. 전화번호를 외우지 않게 된 건 전화번호부가 나온 이후고, 길을 외우지 않게 된 건 네비게이션이 나온 이후다.

그런데 이제는 기억을 넘어 선택까지 외부에 맡긴다.

알고리즘이 아는 나

유튜브가 추천한 영상을 본다. 인스타그램이 보여준 릴스를 넘긴다. 스포티파이가 만든 플레이리스트를 듣는다. 배민이 추천한 맛집에서 시킨다.

"오늘 뭐 볼까"가 "오늘 뭐 추천됐지"로 바뀐 지 오래다.

실제로 넷플릭스 시청의 80%가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이뤄진다. 유튜브 시청 시간의 70%가 추천 영상이다. 우리가 능동적으로 검색해서 보는 건 30%도 안 된다는 얘기다.

선택 피로의 역설

음식 관련 결정만 하루에 200개가 넘는다. 뭘 먹을지, 얼마나 먹을지, 언제 먹을지. 거기에 뭘 입을지, 어떤 길로 갈지, 넷플릭스에서 뭘 볼지까지 더하면 정신이 아득하다.

그래서 알고리즘이 편하다. 선택의 부담을 덜어준다. 스티브 잡스가 매일 같은 옷을 입은 이유도 비슷하다. 쓸데없는 선택에 에너지를 쓰지 않으려고.

문제는 우리가 중요하지 않은 선택만 맡기는 게 아니라는 거다.

판단력의 퇴화

카페에서 주변을 보면 재밌는 장면이 펼쳐진다. 커플이 데이트 중인데 각자 폰을 본다. 뭘 보냐고? 틱톡이다. 가끔 서로 폰을 보여주며 웃는다. 알고리즘이 큐레이션한 재미를 공유하는 거다.

대화 주제마저 알고리즘이 정한다.

유튜브를 한 시간 봤다. 처음 본 영상이 뭐였는지 기억이 안 난다. 그냥 추천 영상을 따라 흘러갔을 뿐이다.

스크롤을 멈추고 생각해본다. 내가 정말 보고 싶었던 건 뭐였지?

나는 정말 이걸 좋아하는가

"맞춤 추천"이라는 말이 웃기다. 내가 과거에 본 것을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한다.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가 같을 거라는 전제다.

하지만 인간은 변한다. 새로운 걸 시도하고 싶어 한다. 알고리즘은 그걸 허락하지 않는다. 과거의 취향에 가둔다.

한 번 요리 영상을 봤더니 계속 요리 영상만 뜬다. 한 번 고양이 영상을 봤더니 고양이 지옥이다. 탈출하려면? 알고리즘을 재교육시켜야 한다. 일부러 다른 영상을 찾아봐야 한다.

주객전도다.

선택의 외주화 시대

스티글레르가 경고한 건 이거다. 기억을 외부에 맡기니 기억력이 퇴화하듯, 선택을 외부에 맡기면 판단력이 퇴화한다.

이미 시작됐다. "뭐 먹을까" 대신 "배민 켜봐". "뭐 볼까" 대신 "넷플릭스 추천에 뭐 있나". "어디 갈까" 대신 "인스타에서 핫한 곳".

우리는 선택의 자유를 얻었지만, 그 자유를 알고리즘에게 양도했다.

해독제는 깊이다

모르겠다면 선택하느라 에너지를 소비하지도, 외주화하지도 마라.

대신 새로운 정보의 양을 통제하라. 매일 다른 영화 대신 좋은 영화 하나를 골라 여러 번 본다. 수십 권의 신간 대신 읽을 만한 책 하나를 깊이 읽는다.

반복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을 고르는 게 핵심이다.

처음엔 줄거리를 본다. 두 번째는 연출을 본다. 세 번째는 대사 하나하나의 의미를 곱씹는다. 열 번째쯤 되면 처음과는 완전히 다른 영화가 된다.

이게 진짜 새로움이다. 예측된 방향 안에서 우러나오는, 깊이에서 오는 새로움. 매번 다른 자극을 쫓는 것보다 훨씬 풍부하다.

알고리즘은 이걸 이해 못 한다. 넓이만 알지 깊이는 모른다. 더 많이, 더 빨리, 더 새롭게만 외친다.

우리가 할 일은 간단하다. 정보의 속도를 늦추고, 선택의 폭을 좁히고, 대신 깊이를 늘린다.

그게 선택의 주도권을 되찾는 길이다.

Read more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결제 안 하는 사람들. "아, 이거 살까 말까" 하면서 몇 번이고 페이지 새로고침하는 사람들. 마치 구매가 죄라도 되는 것처럼. 근데 알렉스 호르모지(Alex Hormozi)는 정반대로 말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고. 구매 욕구는 기본값이다 생각해보면 맞다. 새 신발 보면 갖고 싶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 보면

By 정체이스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증권사 앱을 삭제했다가 다시 깔기를 3번째 하고 있다. 매번 "이번엔 장기투자만 하겠다"고 다짐하는데, 빨간불이 켜지면 손가락이 먼저 움직인다. 매도, 매수, 또 매도. 바쁘게 뭔가를 하고 있으니 뭔가 성과가 있을 것 같은데. 결과는 수수료만 증권사에 갖다 바쳤다. 뭐라도 해야 직성이 풀린다 사람은 원하는 게 있으면 뭐라도 하고 싶어한다.

By 정체이스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하버드 연구진이 개발한 그 성분, 이제 한국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왜 효과적인지 아는가? 정보는 최소한으로, 상상은 최대한으로 만들어서다. 하버드라는 권위 + 개발이라는 혁신 + 성분이라는 과학적 느낌 + "그"라는 지시대명사가 만드는 친밀감. 네 개 요소가 합쳐져서 독자 머릿속에 프리미엄 제품 이미지를 그려낸다. 이게 바로 다크 카피라이팅이다.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