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도 GPP와 SPP가 있다

직장인도 GPP와 SPP가 있다

운동에는 GPP와 SPP가 있다. 기초 체력과 종목별 전문 기술. 농구 선수가 축구로 전향해도 기초 체력은 그대로다.

직장도 마찬가지다.

SPP는 도메인 지식이다. 마케터가 구글 애즈에서 메타 광고로 옮기면 다시 배운다. 개발자가 자바에서 파이썬으로. 디자이너가 포토샵에서 피그마로.

GPP는 다르다. 이메일 쓰는 법. 자료 정리하는 법. 질문하는 법. 시간 지키는 법.

링크드인을 보면 재밌는 패턴이 있다. 경력은 화려한데 함께 일하면 힘든 사람들. 도메인 지식은 많은데 기본이 없다.

메일 한 통에 요점이 없다. 회의 때마다 시간이 늘어진다. 자료는 많이 만드는데 핵심이 안 보인다.

반대도 있다. 경력은 짧은데 일이 술술 풀리는 사람들. 처음 하는 일인데도 빠르게 적응한다. 모르는 걸 물어도 질문이 명확하다.

차이가 뭘까.

인스타그램에 "직장인 필수 스킬" 검색하면 죄다 SPP다. 엑셀 함수, 파이썬 기초, PPT 템플릿. 당장 써먹을 수 있는 것들.

아무도 이런 걸 안 가르친다. 복잡한 내용을 한 장으로 정리하는 법. 모르는 걸 빠르게 파악하는 법. 다른 사람 시간을 아끼는 법.

신입 때는 SPP가 전부다. 뭘 할 줄 아는지가 곧 실력이니까.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안다. 회사가 바뀌면 툴이 바뀐다. 산업이 바뀌면 지식이 바뀐다. 유행이 바뀌면 스킬이 바뀐다.

GPP만 남는다.

레딧에서 본 댓글이 있다. "10년 경력이 있는 게 아니라, 1년 경력을 10번 반복한 거다."

SPP만 쌓은 사람들의 운명이다.

기초 체력 없는 운동선수가 종목을 바꾸면 부상당한다.

기초 역량 없는 직장인이 회사를 옮기면.

Read more

칼로리 카운팅의 역설: 몸의 언어를 다시 배우는 법

칼로리 카운팅의 역설: 몸의 언어를 다시 배우는 법

역설의 시작점 2,000칼로리를 먹고 2,500칼로리를 쓰면 500칼로리 적자. 한 달이면 2kg. 열역학 제1법칙은 부정할 수 없다. 에너지는 보존된다. 그래서 우리는 앱을 깔고 숫자를 센다. 탄수화물 몇 그램, 단백질 몇 그램, 지방 몇 그램. 계획은 완벽하다. 숫자는 명확하다. 하지만 현실은 계산기를 비웃는다. A와 B가 있다. 같은 키, 같은 체중,

By 정체이스
드레이크가 소송에서 진 이유

드레이크가 소송에서 진 이유

랩퍼끼리 디스하다가 법원까지 간 사건이다. 드레이크가 자기 소속사 UMG를 고소했다. 켄드릭 라마가 "Not Like Us"란 곡에서 드레이크를 소아성애자로 몰았는데, UMG가 이걸 그냥 내버려뒀다는 거다. 아니, 오히려 봇 돌리고 페이올라까지 써서 이 곡을 띄워줬다고 주장했다. 2024년 미국 연방법원의 자넷 바르가스 판사가 목요일에 이 소송을 기각했다. 문제의 가사 "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