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역설적 성공: 클릭은 줄고 돈은 늘었다

구글의 역설적 성공: 클릭은 줄고 돈은 늘었다

구글(Google)의 2분기 검색 수익이 542억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12% 증가다. 그런데 같은 기간 클릭 수는 30% 감소했고, 사이트 트래픽도 50% 떨어졌다.

수학이 이상하다.

AI 오버뷰(AI Overviews)가 범인이다. 이제 "김치찌개 맛집"을 검색하면 구글이 바로 답해준다. 클릭할 필요가 없다. 단순한 호기심은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끝난다.

편의점을 생각해보자. 입구에 "아이스크림만 사려는 분은 여기서 구매하세요" 라고 쓴 자판기를 놓았다고 치자. 매장 안으로 들어오는 손님은 줄어들겠지만, 들어온 손님들은 과자와 음료수를 함께 산다. 매출은 오히려 늘어날 수 있다.

구글이 정확히 이걸 했다. AI가 필터 역할을 한다. "그냥 궁금해서" 검색하는 사람들은 AI 답변으로 만족한다. 남은 클릭들은 진짜 뭔가 사려는 사람들이다.

결과? 클릭당 광고비가 12.88% 올랐다.

브라이트엣지(BrightEdge) 데이터를 보면 전체 검색 노출은 49% 증가했다. 사람들이 AI와 대화하면서 더 많이 검색한다는 뜻이다. "김치찌개 맛집"에서 시작해서 "김치찌개 레시피", "김치 종류", "발효음식 효능"까지 이어진다.

공식이 성립한다: (대량 노출 증가) × (높은 클릭당 비용) > (클릭률 감소)

물론 의문도 남는다. 이 노출 증가가 지속 가능할까? 다른 AI 엔진들로 유저가 분산되지 않을까? 그리고 이 모든 걸 돌리는 데 드는 비용은?

하지만 지금 당장은 구글이 옳다. 불필요한 클릭을 걸러내고, 진짜 클릭의 가치를 높였다.

마케터들이 "AI가 SEO를 죽일 것"이라고 겁먹을 때, 구글은 조용히 돈을 세고 있었다.

Read more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결제 안 하는 사람들. "아, 이거 살까 말까" 하면서 몇 번이고 페이지 새로고침하는 사람들. 마치 구매가 죄라도 되는 것처럼. 근데 알렉스 호르모지(Alex Hormozi)는 정반대로 말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고. 구매 욕구는 기본값이다 생각해보면 맞다. 새 신발 보면 갖고 싶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 보면

By 정체이스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증권사 앱을 삭제했다가 다시 깔기를 3번째 하고 있다. 매번 "이번엔 장기투자만 하겠다"고 다짐하는데, 빨간불이 켜지면 손가락이 먼저 움직인다. 매도, 매수, 또 매도. 바쁘게 뭔가를 하고 있으니 뭔가 성과가 있을 것 같은데. 결과는 수수료만 증권사에 갖다 바쳤다. 뭐라도 해야 직성이 풀린다 사람은 원하는 게 있으면 뭐라도 하고 싶어한다.

By 정체이스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하버드 연구진이 개발한 그 성분, 이제 한국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왜 효과적인지 아는가? 정보는 최소한으로, 상상은 최대한으로 만들어서다. 하버드라는 권위 + 개발이라는 혁신 + 성분이라는 과학적 느낌 + "그"라는 지시대명사가 만드는 친밀감. 네 개 요소가 합쳐져서 독자 머릿속에 프리미엄 제품 이미지를 그려낸다. 이게 바로 다크 카피라이팅이다.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