떨어지는 과일과 터지는 거품

떨어지는 과일과 터지는 거품

요즘 게임 광고 보면 다 비슷하다. 앞부분 5초는 과일 자르기, 블록 맞추기, 뭔가 압축하기. 게임이랑 상관없는 OSV(Oddly Satisfying Videos)로 시작한다.

처음 한두 개 봤을 땐 신선했다. 근데 이제는 모든 게임사가 똑같이 한다. 마치 2000년대 초 모든 웹사이트에 플래시 인트로가 있던 것처럼.

광고계의 양떼 효과

마케팅 담당자들의 대화를 상상해본다:

"경쟁사가 OSV 넣고 CTR이 올랐대요."

"우리도 넣죠."

"근데 우리 게임이랑 무슨 상관이..."

"남들 다 하는데 우리만 안 하면 뒤처져요."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다들 '있다고 하니까' 따라한다. 광고 에이전시는 이게 최신 트렌드라며 단가를 올린다. 게임사는 광고비를 더 쓴다.

거품의 징후

이런 현상을 보면 닷컴 버블이 생각난다. 그때도 다들 도메인에 'e-'만 붙이면 투자받았다. 실제 비즈니스 모델은 없어도 됐다. 남들이 하니까.

게임 업계도 비슷한 냄새가 난다. 하이퍼캐주얼 게임들이 쏟아지고, 광고비는 늘어나는데 실제 재미있는 게임은 찾기 힘들다. OSV로 낚아서 설치하게 만들어도, 게임이 재미없으면 바로 지운다.

패턴의 아이러니

OSV는 반복 패턴으로 뇌를 속인다. 그런데 게임 업계도 똑같다. 성공 사례 하나 나오면 다들 복사한다. 배틀로얄 유행하면 다 배틀로얄, 방치형 유행하면 다 방치형.

어쩌면 OSV 광고는 게임 산업의 현재를 정확히 보여주는지도 모른다. 겉만 번지르르하고 속은 텅 빈. 패턴만 있고 창의는 없는.

거품은 언젠가 터진다. 그때까지 우리는 계속 떨어지는 과일을 볼 것이다.

Read more

칼로리 카운팅의 역설: 몸의 언어를 다시 배우는 법

칼로리 카운팅의 역설: 몸의 언어를 다시 배우는 법

역설의 시작점 2,000칼로리를 먹고 2,500칼로리를 쓰면 500칼로리 적자. 한 달이면 2kg. 열역학 제1법칙은 부정할 수 없다. 에너지는 보존된다. 그래서 우리는 앱을 깔고 숫자를 센다. 탄수화물 몇 그램, 단백질 몇 그램, 지방 몇 그램. 계획은 완벽하다. 숫자는 명확하다. 하지만 현실은 계산기를 비웃는다. A와 B가 있다. 같은 키, 같은 체중,

By 정체이스
드레이크가 소송에서 진 이유

드레이크가 소송에서 진 이유

랩퍼끼리 디스하다가 법원까지 간 사건이다. 드레이크가 자기 소속사 UMG를 고소했다. 켄드릭 라마가 "Not Like Us"란 곡에서 드레이크를 소아성애자로 몰았는데, UMG가 이걸 그냥 내버려뒀다는 거다. 아니, 오히려 봇 돌리고 페이올라까지 써서 이 곡을 띄워줬다고 주장했다. 2024년 미국 연방법원의 자넷 바르가스 판사가 목요일에 이 소송을 기각했다. 문제의 가사 "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