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유튜브에서 울면서 이별 얘기하는 영상을 봤다고 치자.

인지적 공감은 “아, 이 사람이 지금 많이 힘들구나. 헤어진 게 상처가 됐겠네”라고 머리로 이해하는 것이다. 상황을 파악하고 감정의 원인을 분석한다. 차가운 건 아니다. 그냥 한 걸음 떨어져서 본다.

정서적 공감은 화면 속 그 사람과 같이 울컥하는 것이다. 가슴이 답답해지고 실제로 눈물이 날 것 같아진다. 타인의 감정이 내 몸으로 전염된다.

둘 다 공감이지만 완전히 다른 경험이다.

카페에서 친구가 회사 상사 욕을 할 때도 그렇다. 인지적으로는 “상사가 불합리하게 구는구나, 친구가 스트레스받을 만하네”라고 이해한다. 정서적으로는 친구와 함께 화가 나서 주먹을 불끈 쥔다.

인스타그램 댓글창이 더 극단적이다. 누군가 속상한 일을 올리면, 인지적 공감은 “힘들겠다”고 댓글 하나 남기고 끝이다. 정서적 공감은 그 사람을 위해 밤새 화를 내고 있다.

재밌는 건 둘 다 필요하다는 점이다. 인지적 공감만 있으면 냉정하고, 정서적 공감만 있으면 번아웃된다.

의사들이 인지적 공감을 더 쓰는 이유다. 환자의 고통을 매번 온몸으로 느끼면 하루도 버틸 수 없다. 대신 그 고통을 이해하고 해결책을 찾는다.

친구 관계에서는 정서적 공감이 더 중요하다. “너 지금 어떤 기분인지 안다”와 “너 지금 어떤 기분인지 느낀다”는 전혀 다르니까.

넷플릭스 드라마를 보면서 주인공에게 소리 지르는 건 정서적 공감이고, 그 다음 날 친구에게 “어제 그 드라마에서 주인공이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 이해되더라”고 말하는 건 인지적 공감이다.

둘 다 가짜가 될 수 있다. 인지적 공감은 “이해하는 척”으로, 정서적 공감은 “감동받은 척”으로 변질된다. 특히 SNS에서는 둘 다 퍼포먼스가 되기 쉽다.

그래서 진짜 공감이 어려운 건지도 모르겠다. 너무 가까우면 객관성을 잃고, 너무 멀면 진정성을 잃는다.

적당한 거리에서 이해하고 느끼기. 쉬워 보이지만 평생 연습해야 할 것 같다.​​​​​​​​​​​​​​​​

Read more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결제 안 하는 사람들. "아, 이거 살까 말까" 하면서 몇 번이고 페이지 새로고침하는 사람들. 마치 구매가 죄라도 되는 것처럼. 근데 알렉스 호르모지(Alex Hormozi)는 정반대로 말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고. 구매 욕구는 기본값이다 생각해보면 맞다. 새 신발 보면 갖고 싶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 보면

By 정체이스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증권사 앱을 삭제했다가 다시 깔기를 3번째 하고 있다. 매번 "이번엔 장기투자만 하겠다"고 다짐하는데, 빨간불이 켜지면 손가락이 먼저 움직인다. 매도, 매수, 또 매도. 바쁘게 뭔가를 하고 있으니 뭔가 성과가 있을 것 같은데. 결과는 수수료만 증권사에 갖다 바쳤다. 뭐라도 해야 직성이 풀린다 사람은 원하는 게 있으면 뭐라도 하고 싶어한다.

By 정체이스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하버드 연구진이 개발한 그 성분, 이제 한국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왜 효과적인지 아는가? 정보는 최소한으로, 상상은 최대한으로 만들어서다. 하버드라는 권위 + 개발이라는 혁신 + 성분이라는 과학적 느낌 + "그"라는 지시대명사가 만드는 친밀감. 네 개 요소가 합쳐져서 독자 머릿속에 프리미엄 제품 이미지를 그려낸다. 이게 바로 다크 카피라이팅이다.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