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 애스터(Ari Aster)의 신작 <에딩턴(Eddington)>: 스마트폰이 총이 된 서부극

아리 애스터(Ari Aster)의 신작 <에딩턴(Eddington)>: 스마트폰이 총이 된 서부극

"스마트폰을 영화적으로 보이게 만들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사악하게 보이도록 만들었죠."
— 아리 애스터, IndieWire 인터뷰

<유전(Hereditary)>, <미드소마(Midsommar)>의 아리 애스터가 가장 무서운 소재를 들고 왔습니다. 2020년 5월의 미국입니다.

칸의 화제작, 한국은 언제?

2025년 5월 16일 칸 영화제(Cannes Film Festival)에서 월드 프리미어를 가진 <에딩턴>은 7분간의 기립박수와 함께 가장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미국은 7월 18일 개봉이 확정됐지만, 한국 개봉일은 아직 미정입니다.

호아킨 피닉스(Joaquin Phoenix) + 페드로 파스칼(Pedro Pascal)

뉴멕시코(New Mexico)의 작은 마을. 마스크를 거부하는 보안관 조 크로스(호아킨 피닉스)와 마스크 의무화를 추진하는 시장 테드 가르시아(페드로 파스칼)의 대립으로 시작됩니다.

엠마 스톤(Emma Stone), 오스틴 버틀러(Austin Butler), 루크 그라임스(Luke Grimes)까지. A24가 여섯 번째로 아리 애스터와 손잡은 이 영화는 캐스팅만으로도 기대작입니다.

현대판 서부극의 탄생

"스마트폰이 총을 대신하는 서부극"이라는 감독의 설명처럼, <에딩턴>은 코로나19 시대를 배경으로 한 첫 번째 메이저 영화입니다. 하지만 진짜 주제는 팬데믹이 아닙니다.

"영화가 무엇에 관한 것이냐고 묻는다면, 저는 그냥 데이터센터가 지어지는 이야기라고 대답할 것입니다." — 아리 애스터, IndieWire

소셜 미디어가 어떻게 우리를 서로 다른 현실에 가두는지, 그 알고리즘의 감옥에서 우리가 어떻게 서로를 적으로 만드는지. 이것이 <에딩턴>의 진짜 공포입니다.

농담: 둠스크롤링의 끝

로튼토마토(Rotten Tomatoes) 68%, 메타크리틱(Metacritic) 65점. 평단의 반응은 극명하게 갈렸습니다. 어떤 이는 "팬데믹에 대한 첫 번째 위대한 영화"라 했고, 어떤 이는 "너무 노골적"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하지만 모두가 동의하는 것이 있습니다. 이 영화가 불편하다는 것. 그리고 그것이 아리 애스터의 의도라는 것.

한국 개봉일이 나오면 그때 또 얘기하죠. 그 전까지는 스마트폰 대신 뭐라도 다른 걸 보시길.


Read more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결제 안 하는 사람들. "아, 이거 살까 말까" 하면서 몇 번이고 페이지 새로고침하는 사람들. 마치 구매가 죄라도 되는 것처럼. 근데 알렉스 호르모지(Alex Hormozi)는 정반대로 말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고. 구매 욕구는 기본값이다 생각해보면 맞다. 새 신발 보면 갖고 싶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 보면

By 정체이스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증권사 앱을 삭제했다가 다시 깔기를 3번째 하고 있다. 매번 "이번엔 장기투자만 하겠다"고 다짐하는데, 빨간불이 켜지면 손가락이 먼저 움직인다. 매도, 매수, 또 매도. 바쁘게 뭔가를 하고 있으니 뭔가 성과가 있을 것 같은데. 결과는 수수료만 증권사에 갖다 바쳤다. 뭐라도 해야 직성이 풀린다 사람은 원하는 게 있으면 뭐라도 하고 싶어한다.

By 정체이스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하버드 연구진이 개발한 그 성분, 이제 한국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왜 효과적인지 아는가? 정보는 최소한으로, 상상은 최대한으로 만들어서다. 하버드라는 권위 + 개발이라는 혁신 + 성분이라는 과학적 느낌 + "그"라는 지시대명사가 만드는 친밀감. 네 개 요소가 합쳐져서 독자 머릿속에 프리미엄 제품 이미지를 그려낸다. 이게 바로 다크 카피라이팅이다.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