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피치, 혹은 정직한 거절권

안티피치, 혹은 정직한 거절권

Fay라는 회사 CEO가 면접에서 하는 말이 재밌다. "우리 회사에 오지 말아야 할 이유"를 먼저 늘어놓는다고 한다. 빠른 속도를 견디지 못한다면, 타이틀에 집착한다면, 편한 길만 찾는다면 오지 말라고.

보통 면접이라면 "성장하는 회사에서 함께할 인재를 찾습니다"로 시작한다. 뻔하다. 성장 안 하는 회사는 없고, 인재 싫어하는 회사도 없다. 결국 아무 말도 하지 않은 것과 같다.

그런데 "야근 많고 스트레스 심해요. 그래도 오시겠어요?"라고 물으면 다르다. 적어도 정직하다. 그리고 그 정직함이 오히려 신뢰를 만든다.

실제로 Fay 직원 중 한 명이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면접 과정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오지 말아야 할 이유들이었다. CEO가 나를 설득하는 대신 내가 맞지 않을 수도 있는 이유들을 나열했다. 그 순간 확신했다."

역설적이다. 거절당할 확률을 높였는데 오히려 더 매력적이 됐다.

안티피치가 통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확신이 있어야 거절할 수 있고, 정직해야 단점을 먼저 말할 수 있다. 그 확신과 정직함 자체가 브랜드가 된다.

물론 아무나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생계가 걸린 상황이라면 단점부터 말할 여유가 없다. 하지만 선택권이 있을 때, 안티피치는 가장 강력한 필터다.

아무나 받아주는 회사보다, 까다롭게 고르는 회사가 더 매력적이다. 면접관이 "정말 괜찮으세요?"라고 물으면, 오히려 "더 듣고 싶어요"라고 답하게 된다.

가끔 내 글도 "재미없으면 읽지 마세요"라고 써보고 싶다.

Read more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결제 안 하는 사람들. "아, 이거 살까 말까" 하면서 몇 번이고 페이지 새로고침하는 사람들. 마치 구매가 죄라도 되는 것처럼. 근데 알렉스 호르모지(Alex Hormozi)는 정반대로 말한다. 사람들은 원래 사고 싶어한다고. 구매 욕구는 기본값이다 생각해보면 맞다. 새 신발 보면 갖고 싶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 보면

By 정체이스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뭐라도 하고 싶은 마음의 함정

증권사 앱을 삭제했다가 다시 깔기를 3번째 하고 있다. 매번 "이번엔 장기투자만 하겠다"고 다짐하는데, 빨간불이 켜지면 손가락이 먼저 움직인다. 매도, 매수, 또 매도. 바쁘게 뭔가를 하고 있으니 뭔가 성과가 있을 것 같은데. 결과는 수수료만 증권사에 갖다 바쳤다. 뭐라도 해야 직성이 풀린다 사람은 원하는 게 있으면 뭐라도 하고 싶어한다.

By 정체이스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다크 카피라이팅: 당신이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여는 기술

"하버드 연구진이 개발한 그 성분, 이제 한국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왜 효과적인지 아는가? 정보는 최소한으로, 상상은 최대한으로 만들어서다. 하버드라는 권위 + 개발이라는 혁신 + 성분이라는 과학적 느낌 + "그"라는 지시대명사가 만드는 친밀감. 네 개 요소가 합쳐져서 독자 머릿속에 프리미엄 제품 이미지를 그려낸다. 이게 바로 다크 카피라이팅이다.

By 정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