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 감정의 완전한 역전

연애 감정의 완전한 역전

게임이 끝났다.

드라마 작가들이 아무리 애를 써도, 영화감독이 완벽한 키스신을 찍어도, 소설가가 마음을 울리는 대사를 써도 소용없다. 연애 감정이라는 링에서 픽션은 리얼리티에게 KO당했다.

'환승연애'에서 전 연인이 서로를 힐끔거리는 0.3초가 드라마 한 시간보다 더 가슴을 뛰게 한다. '모솔연애'에서 어색하게 손을 잡는 장면이 영화 속 완벽한 로맨스보다 더 설렌다. 이게 말이 되나?

문제는 우리가 '진짜 감정'에 중독됐다는 거다. 배우의 연기가 아무리 완벽해도 "연기잖아"라는 생각이 뇌리를 스친다. 하지만 리얼리티 쇼에서 누군가 진짜로 상처받고, 진짜로 설레고, 진짜로 울 때, 우리는 그 감정을 고스란히 받아든다.

더 이상한 건, 우리 모두 편집된다는 걸 안다는 거다. 리얼리티 쇼에 연출이 있고, 자막이 감정을 조작하고, 음악이 분위기를 만든다는 걸 다 안다.

그런데도 믿는다. 편집 사이사이 스며드는 0.3초의 진짜 표정을, 계산되지 않은 한순간의 당황을, 연출할 수 없는 미세한 떨림을.

결국 우리는 가공된 현실 속에서 가공되지 않은 순간을 찾는 탐정이 됐다.

시대가 바뀐 게 아니다. 우리가 바뀐 거다. 완벽한 사랑보다 불완전한 진심을 택했다.

Read more

칼로리 카운팅의 역설: 몸의 언어를 다시 배우는 법

칼로리 카운팅의 역설: 몸의 언어를 다시 배우는 법

역설의 시작점 2,000칼로리를 먹고 2,500칼로리를 쓰면 500칼로리 적자. 한 달이면 2kg. 열역학 제1법칙은 부정할 수 없다. 에너지는 보존된다. 그래서 우리는 앱을 깔고 숫자를 센다. 탄수화물 몇 그램, 단백질 몇 그램, 지방 몇 그램. 계획은 완벽하다. 숫자는 명확하다. 하지만 현실은 계산기를 비웃는다. A와 B가 있다. 같은 키, 같은 체중,

By 정체이스
드레이크가 소송에서 진 이유

드레이크가 소송에서 진 이유

랩퍼끼리 디스하다가 법원까지 간 사건이다. 드레이크가 자기 소속사 UMG를 고소했다. 켄드릭 라마가 "Not Like Us"란 곡에서 드레이크를 소아성애자로 몰았는데, UMG가 이걸 그냥 내버려뒀다는 거다. 아니, 오히려 봇 돌리고 페이올라까지 써서 이 곡을 띄워줬다고 주장했다. 2024년 미국 연방법원의 자넷 바르가스 판사가 목요일에 이 소송을 기각했다. 문제의 가사 "

By 정체이스